자유게시판478 조달청 설계 등 용역업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 조달청 설계 등 용역업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 (조달청 건설용역과-7269호 2017.12.26.) 제1조(목적) 이 기준은 「건설기술진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5조,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이하 “시행령”이라 한다) 제52조 및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 제28조에 따라 조달청에서 집행하는 설계 등 용역업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을 정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2조(평가기준일 등) ①평가항목별 평가기준일은 입찰공고 등에서 따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입찰공고일로 한다. 단, 업무중첩도의 평가기준일은 입찰공고 시 명시된 착수예정일로 한다. ②평가점수에 소수점이 있는 경우 평가항목(요소)별 합계점수의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제3조(적용기준) ①사업수행능.. 2021. 11. 11. 조달청 시설사업 BIM 적용 기본지침서 v1.32」개정 알림 ○ 조달청 시설공사 맞춤형서비스로 발주하는 BIM 적용 공사의 BIM 모델 작성 및 납품, 활용, 관리기준을 개정하여 이를 공개합니다. ○ 본 지침서는 조달청 시설공사 맞춤형서비스로 발주하는 BIM 적용 공사의 ‘설계공모 지침’, ‘설계용역 과업지침서’ 및 ‘입찰안내서’에 적용할 예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붙임 :「조달청 시설사업 BIM 적용 기본지침서 v1.32」 *첨부문서 참조 www.promas.co.kr 2021. 11. 11. 채권양도 승인규정 채권양도 승인규정 제정 1952. 4. 18 조달청훈령 제 32호 개정 1964.11. 25 조달청훈령 제 99호 개정 1970.6. 24 조달청훈령 제 244호 개정 1973.9. 20 조달청훈령 제 333호 개정 1976.4.19 조달청훈령 제 392호 개정 1995.3. 30 조달청훈령 제 882호 개정 1998. 4. 27 조달청훈령 제1010호 개정 2009. 8. 21 조달청훈령 제1467호 개정 2012. 8. 23 조달청 훈령 제1563호 개정 2015. 8. 24 조달청 훈령 제1713호 개정 2016. 1. 15 조달청 훈령 제1728호 개정 2019. 11. 28 조달청 훈령 제1893호 개정 2021. 3. 30 조달청 훈령 제1976호 제1조(목적) 이 훈령은 조달청과 계약을 체결.. 2021. 11. 11. S마크 란? S마크 제품의 다양화에 따른 제품의 품질 향상과 소비생활의 위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인증제도로서 KAS(한국제품인정기구)로부터 인정받은 인증마크입니다. 인증기관의 역할 인증기관(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인증기술본부) 인증심사기준에 따른 인증심사 - 공장심사 - 제품심사 인증심사기준에 적합한 경우 인증서 발급 인증에 대한 사후관리 대상분야 및 품목 · 살균제품 · 항균제품 · 저독성제품 · 비자극제품 · 방부제 무첨가 제품 · 탈취제품 · 오니안정성 제품 · 실내공기질제품 · 유해물질 저감 제품 · 기타 기능성 제품 업무처리절차 인증신청 사후관리 방 법 인증제품에 대하여 성능 및 품질유지를 위해 년 1회 이상 사후관리 실시 조 치 경 고 : 경미한 결함이 발생 된 경우 표시정지 : 중대한 .. 2021. 11. 5. Q마크 Q마크 소비자의 이익보호와 공산품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제품의 특성에 맞는 엄격한 검사기준을 제정하여 업체의 품질경영 체계 및 해당제품에 대한 품질을 보증하여 Q마크를 부여합니다. 대상분야 및 품목 · 화학제품류 · 토건자제류 · 요업자재류 · 금속 및 비파괴 분야 · 기타관련제품 업무처리절차 인증업체에 주어지는 혜택 1. 품질관리체제확립지원 2. 기술정보 제공 3. 의뢰시험시 시험수수료 감면혜택 (20%) 4. PL보험가입시 가입비용 감면혜택 (최고50%) 5. 조달계약 및 납품시 행정지원 6. 정부자금지원과 연계한 공동기술개발 2021. 11. 5. TR마크란? TR마크란? 기술과 신뢰의 인증마크로서 국민소비생활의 향상과 제품다양화에 따라 안전ㆍ위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위하여 제조자의 제품의 품질, 제품의 안전, 제품의 기능성, 제품의 특이성능 등에 대해 KTR에서 연구원, 학계, 유관기관 등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회를 통하여 TR인증검사기준 및 평가기준에 적합한 경우 제품에 TR마크를 부착하는 제도입니다. 대상품목 및 적용시스템 대 상 품 목 적용 시스템 대 상 품 목 적용 시스템 대 상 품 목 적용 시스템 기계관련 제품류 형식 3 전분류 품목 중 소비자 안전위해제품 (국내 KC인증관련 제품) 형식 5 전분류 품목 중 배치 또는 로트단위 제품 류 형식 1b 전기전자관련 제품류 금속관련 제품류 광산관련 제품류 건설관련 제품류 일용품관련 제품류 섬유관련 제품류 요.. 2021. 11. 5. 에너지효율등급이란? 제도 개요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 최저효율기준, 목표소비효율기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는 제품의 에너지소비효율 또는 사용량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하여 표시토록 함으로써 소비자들이 효율이 높은 에너지절약형 제품을 손쉽게 판단하여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수입)업자들이 생산(수입)단계에서 부터 원천적으로 에너지절약형 제품을 생산·판매하도록 하는 에너지절약을 위한 제도입니다. 1등급제품은 5등급보다 30∼40% 에너지가 절감됩니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 최저효율기준은 저효율제품의 확산방지와 생산업체의 기술개발의 촉진을 높이기 위하여 최소한의 효율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제도로서 개선되지 않은 제품에 대하여는 발견 즉시 생산자와 판매자에게 유통금지토.. 2021. 11. 5. KCC인증이란? 정보통신기기의 인증은 전기통신기본법 제33조와 전파법 제46조 및 제57조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는 강제적인 인증제도로서 정보통신기기 인증규칙 제3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조, 수입 또는 판매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에 적용되는 인증을 받고 이에 관한 표시를 제품에 부착하여 유통하도록 하고 있는 것입니다. 전자파적합등록은 전기ㆍ전자기기의 사용 급증으로 인해 기기에서 발생하는 불요 전자파 및 다른 기기나 외부의 전파에 의한 통신장해 및 기기 오동작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내 전자파환경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대상기기 데이터 및 통신메세지의 입력ㆍ출력ㆍ저장ㆍ검색ㆍ전송 또는 제어 등의 주요기능과 정보전송용으로 작동되는 1개 이상의 터미널포트를 갖춘 기기로서 600볼트 이하의 공.. 2021. 11. 4. LED 세계표준 제정 추진 KTR은 LED를 비롯한 전 조명기기에 대한 국내최초 그리고 국내유일의 국제전기위원회(IECEE) 국제공인 인증시험기관(CBTL)입니다. 따라서 KTR이 발행한 LED 시험성적서를 가지고 국제전기위원회 회원국의 국가 인증을 받아낼 수 있습니다. CBTL은 까다로운 설비 및 시험기준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웬만한 시험기관에서는 엄두도 내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또 KTR은 2009년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으로부터 LED 구동장치, LED 가로등 및 보안등, LED 문자간판 등에 대한 KS 지정심사기관으로 지정받아 LED 조명제품 전 영역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LED조명 국제표준화 활동도 적극적으로 주도, IEC TC 34A(램프분야) 컨버터외장형 LED램프 안전 및 성능기준.. 2021. 11. 4. 이전 1 ··· 49 50 51 52 53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