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하도급계획서 작성 시 심사세부기준 [별지제6-1호]의 하도급할 공사의 조사금액, 입찰금액, 하도급금액 산정 시 간접공사비, 일반관리비, 이윤 등(이하 간접공사비 등)의 산정 방법은?

by 조달지킴이 2021. 8. 20.
728x90

 하도급계획서는 나라장터에 게시된 물량내역서(BID파일)와 입찰내역작성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내역서와 동일한 BID파일내에서 작성하고 제출하여야 합니다.

 하도급할 공사의 조사금액, 입찰금액의 각 항목별 간접공사비 등의 산출 방법은 세부시행요령에서 제시한 산식에 따라 직접공사비에 대한 비율로 산출하여야 합니다.

 

 (예시)

하도급 할 공사의
조사금액 일반관리비
= [별표] ++ × 조사내역서 일반관리비
조사내역서 직접공사비
하도급 할 공사의
입찰금액 일반관리비
= [별표] ++ × 산출내역서 일반관리비
산출내역서 직접공사비

 하도급할 공사의 조사금액, 입찰금액 각 항목별 간접공사비 등의 포함 여부는 다음과 같이 적용하여야 합니다.

 

- 일반관리비, 이윤, 부가가치세는 반드시 포함

(, 산출내역서에서 이윤을 “0”원 투찰 시 하도급할 공사의 입찰금액 산정에서 이윤은 “0 가능)

 

- 다만, 공사이행보증수수료, 건설하도급대금지급보증서발급수수료, 공사손해보험료, 제잡비제외공종, 원가계산서 상 PS항목은 제외

 

- 상기 간접공사비 이외의 항목은 하도급금액에 포함되어 하수급인이 부담하는 경우에 포함하여 산정하며, 하도급금액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입찰자가 조사금액, 입찰금액에 포함한 경우 하도급할 공사의 조사금액, 입찰금액 산정 시 포함하여 산정

[별표1]

하도급계획심사업종 공사비산출서

구 분 조사금액 입찰금액 하도급금액
1. 순공사원가      
. 재료비      
-1. 직접재료비
. 노무비      
-1. 직접노무비
-2. 간접노무비
. 경비      
-1. 산출경비
-2. 산재보험료
-3. 고용보험료
-4. 건강보험료
-5. 노인장기요양보험료
-6. 연금보험료
-7. 퇴직공제부금비
-8. 산업안전보건관리비
-9. 환경보전비
-10. 공사이행보증수수료 × × ×
-11. 하도급대금지급보증서발급수수료 × × ×
-12. 건설기계대여대금지급보증서발급금액
-13. 기타경비
2. 일반관리비
3. 이윤
4. 미확정설계항목(PS) × × ×
5. 제비율적용 제외공종 × × ×
6. 총원가      
7. 공사손해보험료 × × ×
8. 소계      
9. 부가가치세
10. 매입세      
11. 총계      
금 액 (A) (B) (C)
도급자설치관급자재대(부가세별도)      

※ ○ : 반드시 포함,  : 입찰자선택, × : 미포함,  : 0원 투찰시 미포함

 부가가치세 : 부가가치세법에 따라 영세율 또는 면세율에 해당하는 공사는 해당요율

 

[별표2]

하도급계획심사업종 내역서

 

공종코드 세부공종명 규격 수량
조사금액 입찰금액 하도급금액
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금액
                                                         
                                                         
                                                         
                                                         
                                                         
                                                         
                                                         
                                                         
하도급계획심사업종별
직접공사비 합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