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지체상금 면제관련 질의

by 조달지킴이 2021. 3. 16.
728x90

첨부파일처리결과

안녕하세요.
저는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토목공사의 현장 감리업무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현장 감리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지체상금 부과에 대하여 발주처와 시공사간에 이견이 있어 아래와 같이 질의를 드립니다.

1. 현황
- “ooo건설공사”는 장기계속계약으로 계약 체결된 공사로서 금차(5차) 공사 계약기간은 ‘12.3.31.까지이며 기성금은 약 70% 지급 상태임

- 도급자로부터 감리단에 ‘12.3.30. 준공검사원이 제출되었으며, ’12.4.9. 준공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일부 도로구간 일부 보완시공이 필요하여 감리단에서 도급사에 보완지시 공문을 발송하였음

- 이후 ‘12.4.25. 도급사에서 준공검사원(재)을 제출하였으며, ’12.4.26. 준공 검사를 최종 완료함

2.질의내용
- 동 건에 대하여 공사계약일반조건 제25조의 2항 및 6항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 지체상금 부과대상금액을 산정코자 하나 도급자와 발주자간에 부과대상 금액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어 질의코자 합니다.

갑설> 준공검사 이전에 기성검사를 완료하고 기성금을 지급한 후 실제 사용하고 있는 공사구간은 지체상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여야 한다.

을설> 준공검사를 통해 보완지시가 없는 구간(공사완료 구간)이 준공 즉시 실제 사용중이라면 지체상금 부과대상에서 제외하며, 보완시공으로 인하여 최종 검사합격시까지 사용하지 못한 구간에 대하여만 지체상금 부과대상에 포함한다.


병설> 준공검사 이전에 공사를 완료한 구간이더라도 인수 절차가 없어, 발주자가 관리 사용중이라 볼 수 없으므로 5차공사 전체금액을 지체상금 부과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준공지체상금질의(조달청).hwp
안녕하십니까? 조달청을 찾아주심에 감사드리며 귀 질의사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답변내용]

국가기관이 체결한 공사계약에 있어서 계약상대자는 계약서에 정한 준공기한(계약서상 준공신고서 제출기일)내에 공사를 완성하지 아니한 때에는 회계예규「공사계약일반조건」제25조에 따라 매 지체일수마다 계약서에 정한 지체상금율을 계약금액(장기계속공사계약의 경우에는 연차별 계약금액)에 곱하여 산출한 “지체상금”을 납부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기성부분에 대하여 검사를 거쳐 이를 인수(인수하지 아니하고 관리·사용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한 때에는 그 부분에 상당하는 금액을 지체상금부과대상에서 공제’하는 것인바 이 경우 기성부분의 인수는 그 성질상 분할할 수 있는 공사에 대한 완성부분으로 인수하는 것에 한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