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신기술인증(NET), 신제품인증(NEP), 조달우수제품 상관관계 및 내용 질문드립니다

by 조달지킴이 2021. 1. 22.
728x90

Q..중소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연구원입니다

신기술(NET), 신제품(NEP) 인증 및 조달우수제품 신청을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NET, NEP, 조달우수제품에 대한 기본적 개념은 알고 있으나

이 세가지 인증등록에 대한 상관관계 및 인증등록 시 소요기간,

컨설팅 없이 중소기업에서 자체적으로 가능한지,

그리고 세가지 인증 및 등록을 할 경우에

어느 순서로 진행이 되야 하는지 등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최고의 방법은 컨설팅을 받으면 됩니다만, 

중소기업의 특성상 컨설팅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 기본적인 개념부터

알고 들어가고자 질문 드립니다

인증관련한 고수님들 자세히 좀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A.우선 조달우수제품 지정을 위해서는 다음의 인증이 필요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1. 신제품(NEP), 신기술(NET)
2. 녹색기술
3. 성능인증, K마크, 자가품질보증

 

업체에서 희망하시는 신기술과 신제품에 대해서는 아래 사이트를 확인 후 담당자분과

협의 후 준비를 하시면 됩니다.

1. NET(신기술인증)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http://www.netmark.or.kr/)

    1) 1년 3회 신청이 가능하며 7월말 신청기간입니다.

2. NEP(신제품인증) -  국가기술표준원 (http://www.kats.go.kr)

    2) 수시접수가 가능합니다.

 

NET와 NEP인증은 접수 후 90~120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가 되는데 무엇보다 국내 유일의

신기술이 접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술적인 난이도가 가장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NEP의 경우 조달우수제품 심사 시 심사특례가 주어지는 것입니다.

 

업체에서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NET와 NEP 가능성이 희박하시다면 성능인증 또는 K마크 등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항인 기술특허를 기본적으로 3개 이상 출원하셔야 우수제품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무엇보다 컨설팅을 받으신다고 우수제품이 되시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객관적인 기술검토 후 필요 시 컨설팅을 의뢰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