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억 규모… 혁신제품 시범 사용 기관 선정
대국민서비스 향상 60개 혁신제품, 142개 기관에서 우선 사용
□ 조달청(청장 김정우)은 혁신조달을 통한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186억 원 규모의 60개 혁신제품을 시범으로 사용할 142개 정부·기관을 선정했다.
ㅇ 조달청은 이 같은 내용의 ‘22년 제2차 혁신제품 시범구매 사업* 수요연계 결과’를 혁신장터에 공개했다.
* 조달청이 첫 구매자로 혁신제품을 직접 구매해 정부·공공기관에게 사용하도록 제공함으로써, 혁신제품 사용 사례를 만들어 공공의 혁신제품 구매를 촉진하고, 기업에게는 결과를 환류해 추가개발을 지원하는 제도
□ 이번에 시범 구매되는 혁신제품에는 안전·복지·환경 등 국민의 삶의 질과 공공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제품이 다수 포함됐다.
ㅇ 혁신제품은 안전·복지 분야 37개, 환경미세먼지 분야 13개, 바이오헬스 분야 6개, 스마트시티 분야 4개 등 총 60개이다.
ㅇ 시범사용기관으로는 혁신제품의 성능을 검증하고 추가연계 구매가능성이 높은 국가기관 19개, 지방자치단체 67개, 공공기관 56개 등 142개의 기관이 최종 선정됐다.
□ 이번에 기관에서 시범 사용될 혁신제품의 특징을 살펴보면
ㅇ 바이오헬스분야 제품인 “체감형 가상현실 치매케어 서비스 플랫폼”은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R&D) 결과물로 진도보건소 치매쉼터와 진도노인요양병원에 설치돼 농어촌지역 노인의 치매예방에 시범 적용될 예정이다.
ㅇ 안전복지분야 제품인 “사물인터넷(IoT) 진동감지 위험예측시스템”은 김해공항의 레이더 송수신소 등에 설치돼 지진, 화재예방 등 위험 상황을 사전 예측하는데 시범 사용된다.
ㅇ 환경미세먼지분야 제품인 “이동형 질량분석시스템”은 남극 극지연구소에서 남극의 기후변화 측정과 환경오염물질 모니터링에 활용된다.
ㅇ 안전복지분야 제품인 “전기화재 예방용 아크차단기”는 청량리종합시장, 광주양동시장 등 전통시장에서 화재사고 예방 효과 검증에 투입될 예정이다.
□ 김응걸 혁신조달기획관은 “이번에 선정된 혁신제품은 다양한 공공기관에서 시범사용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면서
“앞으로도 혁신적인 기술과 기업들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공공조달시장에 진출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조달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달교육원·창업진흥원, 창업기업 공공시장 진출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0) | 2022.05.10 |
---|---|
22년 간접공사비 적용기준, 공사현장 실태조사 결과 반영 (0) | 2022.05.10 |
물품분야 조달계약 하자보수보증금률 5% → 3% 인하 (0) | 2022.05.10 |
2022년 상반기 노사상생협의회 개최노·사간 협력을 통한 상생 강조 (0) | 2022.05.10 |
조달품질원, ‘전문검사기관 간담회’ 개최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