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부품소재기업의 미래시장 신흥국가로 Go

by 조달지킴이 2021. 11. 24.
728x90

- 글로벌 파트너쉽사업 인니, 베트남 등 신흥국가로 크게 확대 -

□ 지식경제부(장관: 최중경)는 부품소재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미래시장 선점을 위해 올해부터「Global Partnership」(이하 GP)사업 대상을 신흥국가로 크게 확대할 계획(11년 예산 35억원)

ㅇ GP사업은 해외 글로벌 수요기업과 국내 부품소재기업간 전략적 제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해 미국, 일본, EU 등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첫 사업을 추진하였음

ㅇ 최근 신흥국가의 경제 성장과 소득 증가로 고부가 부품소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 브라질 등 5개 신흥국가를 신규 협력 대상국가로 확대키로 함

- 특히 신흥시장은 해외 수요기업과 공동 R&D 중심의 협력을 지원하는 선진시장과 달리 기술이전, 기술제휴, 지분투자, 합작 등 현지 기업과 상호 win-win하는 시장진출 전략을 추진할 계획

〈부품소재 “10 & 100” 해외진출 방안〉

□ (기본방향) 부품소재 무역수지 흑자기조 유지 및 우리 부품소재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해외진출 지원 강화

□ (추진방안) 국가별 특성을 고려하여「10대 전략국가」의 지속적인 해외진출 추진

ㅇ (신흥시장*) 100대 수출 전략품목**을 중심으로 기술이전, 지분투자, 합작 등 현지 기업과 상호 win-win 하는 내수 친화적 시장진출 추진

*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브라질 등
**현재 선진국 수출 상위품목 중 신흥국가 수요 및 수출 확대가 예상되는 품목

ㅇ (선진시장*) 100대 글로벌기업**을 중심으로 공동 R&D, 신뢰성 등 제품 개발단계부터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선진시장 진출 확대

* 미국, 일본, EU, 대만 등
**국내 기업과 협력 가능성이 높은 글로벌기업을 선정, 상시 제휴 지원


□ (11년도 GP사업) 부품소재 수출구조 다변화 및 무역 1조불 달성을 위해「10대 전략국가」를 중심으로 해외진출을 강화할 계획

ㅇ 시장 및 국가별 산업 특성, 부품소재 수요 전망을 고려하여 주요 상담분야* 선정하여

* (붙임 참조) EU-풍력, 정밀기계, 미국-수송 및 중장비, 반도체장비, 인도 : 모바일, 베트남 : 전기전자, 인도네시아 : 기계, 자동차 등

-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현지에서 글로벌 파트너링 상담회 15회, Pin point 상담회를 2회 개최할 계획

- 또한 사업에 참여하는 부품소재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기술마케팅, 지재권 관리전략 교육 등을 지원함

ㅇ 특히 상담회에서 발굴된 국내외 기업간 제휴 유망 프로젝트는 부품소재 기술개발사업(해외 공동주관 30억원), 글로벌 파트너쉽 신뢰성사업(15억원)을 연계하여 제휴 성사를 적극 지원할 예정


□ (10년도 성과) 국내외 상담회(17회)에 1,037개사(해외 322社, 국내 715社)가 참여하여 해외 수요기업과 약 1억불 규모*의 계약을 체결함

ㅇ 이밖에도 Applied Materials(반도체장비 부품 국산화), Caterpillar(친환경 중장비 부품개발) 등 국내 부품소재기업과 제휴가 유망한 다수의 프로젝트 협의가 진행 중

* 한남하이텍-Avery Dennison, IN-CLT-Ciena 등 공동 R&D 및 납품 3건(6천만불), 아웃소싱 8건(1,024만불), 투자유치 1건(1,500만 유로), 기타 NDA 5건 체결

□ (11년도 성과목표 및 기대효과) 그간 꾸준히 추진해온 상담 성과를 통해 해외 기업과 공동 R&D 및 납품 5건(1억불), 아웃소싱 10건(0.5억불), 투자유치 5건(1억불) 등 2.5억불 규모의 계약을 달성할 계획

ㅇ 그 결과 GP사업이 우리 기업과 해외 수요기업이 상호 win-win 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

ㅇ 또한 기업의 다양한 needs에 따라 기업간 협력 가능한 모든 유형의 사업*을 연결하는 GP사업이 기존 수출상담회와 차별화된 새로운 마케팅 프로그램으로 인식될 것으로 기대함

* 공동 R&D, 기술이전 및 거래, 지분투자, 합작 등 다양한 상담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 상담에 참여하는 해외 기업의 부서 또한 구매뿐만 아니라 Technology & Science, 비즈니스 개발, 연구부서 등으로 다양함

□ (사업 설명회) 한편 GP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kotra는 현재 사업에 참여할 국내 기업을 상시 모집 중이며(문의 : 02-6009-3947, www.gpkorea.or.kr)

ㅇ 4.6(수)~7(금), 11(월)까지 사업 홍보 및 경쟁력 있는 국내 기업 발굴을 위해 전국 순회 설명회 개최할 계획

- 특히 ‘신뢰성 기반기술확산사업’, ‘M&A 활성화 지원사업’과 공동 설명회를 개최하여 부품소재기업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할 예정

 

 

우수조달컨설팅

www.promas.co.kr

 

우수조달컨설팅

대표전화 031-234-2870 010-4611-2870 이메일문의 ceo@promas.co.kr

www.proma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