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대표업체 및 구성업체가 공동수급협정서를 각각 작성, 송신한 이후 대표업체가 '조달업체업무→시설(또는 물품 또는 용역)→투찰관리→공동수급협정서승인, 공동수급협정서조회' 화면에서 협정서를 각각 승인 및 조회할 수 있습니다.
공동수급협정서 승인은 현재 로그인해있는 업체가 해당공고에 대표업체로 되어있어야 조회 및 승인이 가능합니다.
공동수급협정서 조회는 현재 로그인된 업체가 대표업체(또는 구성업체)로 되어있는 물품ㆍ시설ㆍ용역 협정서가 모두 조회되고, 승인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업체는 협정서 승인여부를 확인 후 투찰하셔야 합니다. 물론 투찰은 대표업체만 하여야 합니다.
또한, 대표업체의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표업체가 투찰을 했을 경우에는 단독응찰로 적용이 되어 입찰참가자격 미달 등으로 낙찰에서 제외될 수도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질문과 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찰참가자격등록신청서를 작성하는 절차와 방법은? (0) | 2021.02.16 |
---|---|
G2B 시스템에서 입찰공고서를 입력하고 공고(등록 및 게시)하는 절차는 ? (0) | 2021.02.16 |
나라장터(G2B)에서 서비스되는 SMS서비스란 무엇인가요? (0) | 2021.02.16 |
계약 등 G2B에서 조달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기안이나 결재가 필요한 문서의 경우는 G2B에서 결재 상신, 결재승인처리가 가능한가요? (0) | 2021.02.16 |
조달업체는 자사(自社)의 실적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지와 그 절차는? (0) | 2021.02.16 |